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config.js
본문 바로가기
건강

진드기에 물렸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진드기 제거 방법]

글: 버니블랙 2024. 11. 8.
300x250

 진드기에 물렸을 때 크기가 작아 물렸는지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진드기에 물렸다면 반드시 손으로 터트리거나 떼지 말고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드기를 제거합니다. 의료기관 방문이 어렵다면,  피부 깊숙이 핀셋을 밀어넣은 후 진드기 머리 부분을 잡고 수직으로 천천히 제거한 후 소독을합니다.

진드기 제거 방법

 

진드기에 물렸을 때 제거 방법

1. 깨끗하고 끝이 미세한 핀셋과 소독약을 준비하고, 장갑을 착용합니다.

2. 핀셋으로 진드기의 머리 부분을 피부와 최대한 가깝게 잡고, 압력을 주어 피부와 직각으로 천천히 밖으로 빼냅니다.

3. 만약 제거 후 진드기의 입 부위가 피부에 남아있다면 핀셋으로 제거합니다.

4. 손과 물린 부위를 비누 또는 알코올 세정제로 깨끗이 씻고 소독합니다.

진드기에 물렸을 때 제거 방법

 

 

진드기에 물리면 어떤 감염병에 걸릴 위험이 있을까?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종류로는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라임병, 진드기매개뇌염(국내 미발생) 등이 있습니다.

 

1. 쯔쯔가무시증: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주로 진드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큰 야외활동 시 질병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감염되면 고열, 혈소판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치명률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3. 라임병: 보넬리아속균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질환입니다.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라임병
잠복기 10일 이내 5~14일 3~30일
발생시기 연중(10~11월에 집중 발생) 4~11월 여름철
증상 발열, 근육통, 오한, 검은딱지 등 고열, 소화기 증상(구토, 설사) 등 발열, 유주성 홍반, 오한, 피로감,
두통, 관절통
치명률 약 0.2% 18.7% 0.1% 미만

 

 

참진드기 vs 털진드기, 어떻게 생겼을까?

참진드기와 털진드기는 그림과 같이 차이가 있습니다.

참진드기 vs 털진드기

 

진드기 예방방법

1. 안전하게 옷 갖춰 입기(밝은색 긴 옷, 모자, 목수건, 목이 긴 양말, 장갑, 장화 등)

2.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4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사용)

3. 풀밭에 앉을 때 돗자리 사용하기

4. 귀가 즉시 옷은 털어서 세탁하기

5. 샤워(목욕)하면서 몸에 벌레 물린 상처 또는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확인하기

6. 발열 등 증상 발생 즉시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진드기 예방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