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config.js
본문 바로가기
320x100

건강44

화상의 중증도 분류 방법[중증/중등도/경증 화상] 화상의 중증도 분류 방법다음의 다섯 가지 요소가 열 화상의 중증도를 결정합니다. 이들 요소를 고려하여 화상을 중증(critical), 중등도(moderate), 경증(minor)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① 화상의 깊이(1도, 2도, 3도) ② 화상부위의 면적(9의 법칙) ③ 중요 신체부위(손, 발, 얼굴, 회음부)의 포함 여부 ④ 환자의 나이(고령 또는 영아) 1. 중증 화상 기준 중증 화상은 가장 심각한 화상입니다. 기도의 흡인 화상이나 골절을 동반한 화상, 전기화상, 화상 범위가 체표면적의 10% 이상의 3도 화상의 모든 환자, 25% 이상의 2도 화상(10세 미만과 50세 이후에서는 20% 이상의 2도 화상), 그리고 영아나 노인, 기왕의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의 화상은 중증으로 분류합니다. 또한.. 2024. 11. 26.
비만 기준 및 측정 방법: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비만 기준 및 측정 방법 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이 아닌, 지방이 정상보다 더 많이 축적된 상태로 체내 지방량을 측정해 평가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그러나 체내 지방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은 시행하기 어려우므로 대개 다음과 같이 간접적으로 평가합니다.    1. 체질량지수(BMI) 기준: 25 kg/㎡ 이상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체중(kg)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는 키에 비해 체중이 적당한가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특별한 장비 없이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어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근육과 지방량을 구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인 비만의 기준은 체질량지수 25 kg/㎡ 이상입니다.   ◎ BMI 계산법= 체중(.. 2024. 11. 25.
독감 vs 감기 차이 비교 독감과 감기의 차이 비교 독감은 독한 감기의 약자가 아닙니다.독감(인플루엔자)는 명칭 때문에 감기와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 질환이고 감기는 200여 가지의 다양한 바이러스(주로 리노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입니다.     독감은 증상이 갑작스럽고 심각하게 나타나며, 38℃ 이상 발열, 두통, 근육통, 콧물, 인후통, 기침 등의 전신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감기는 증상이 비교적 경미하고 서서히 나타나며, 고열이 동반되는 경우는 드물고 인후통, 기침, 코막힘 등이 나타납니다. 감기는 일반적으로 합병증이 드물고, 경과가 좋아 주로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독감은 폐렴, 기관지염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2024. 11. 24.
만성기침의 원인, 감기가 아닐수도 있다? 만성기침이란? 만성 기침은 8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침은 감염이나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지만, 만성 기침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성기침의 원인만성기침의 원인은 다양한데, 그중 가장 흔한 원인 세지는 바로 상기도기침층후군, 천식, 위식도역류질환입니다. 이 외에 흡연, 고혈압 치료제(ACE 억제제), 폐렴, 폐결핵, 폐암도 만성기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 상기도기침증후군: 알레르기비염, 만성 비염, 만성 부비동염 상기도기침증후군은 코나 비인두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기침으로, 알레르기비염, 만성 비염, 만성 부비동염 등에 의해 나타나는 만성 기침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콧물과 코막힘 등의 증상을 주로 보이는 이러한 질환은 코가 목 뒤로 넘어.. 2024. 11. 2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