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20x100

54

타세놀 vs 타이레놀 어떤 차이일까? 성분 효과 비교 약국에서 '타이레놀 주세요' 라고 했을 때 타세놀과 같이 다른 약을 받아본 경험이 있을 겁니다.겉으로 보기에도 비슷하고 이름도 비슷한 타세놀과 타이레놀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답은 "동일한 성분과 용량으로 큰 차이가 없다" 입니다.  타세놀 vs 타이레놀 비교 타세놀과 타이레놀은 모두 아세트아미노펜 단일 제제로, 용량과 용법도 같습니다.즉, 타세놀 500mg= 타이레놀 500mg, 타세놀이알서방정 650mg= 타이레놀이알서방정 650mg입니다. [타세놀 vs 타이레놀 비교표]  [타세놀정 500mg 정보]□ 성분: 아세트아미노펜 500mg(1정 중) □ 효능·효과  - 감기로 인한 발열 및 통증  - 두통, 신경통, 근육통, 월경통, 염좌통, 치통, 관절통, 류마티양 통증 등 □ 용법·용량  - 만 1.. 2024. 5. 28.
해열 진통제: 타이레놀 종류 비교, 성분, 효과, 복용법 두통약, 아직도 타이레놀만 복용하고 계신가요?타이레놀은 아세트아미노펜 단일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해열진통제입니다. 그러나 타이레놀은 해열제의 효과는 탁월하지만 진통제·소염제의 효과는 떨어집니다. 즉, 발열 증상을 동반하는 두통에는 효과가 좋지만, 일반적인 스트레스성 두통이나 편두통에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타이레놀이란? □ 성분: 아세트아미노펜 □ 장점  1. 염증이 보이지 않는 발열성 통증에 우수한 효과를 보임  2. 효과가 빠르게 나타남  3. 위장장애에 대한 부담이 적음 □ 단점  1. 진통 소염 효과가 적음  2. 지속시간이 짧음(일반형 4시간, 서방형 8시간)  3. 고용량 투여 시 간독성 위험 □ 작용기전: COX를 억제하여 해열작용, 체온조절중추.. 2024. 5. 27.
심한 인후통약 추천: 약국 목감기약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후통 증상이 심할 때 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에 대해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인후통 시 복용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의 종류는 해열진통제, 가글제, 스프레이제제, 목감기약, 한약제제 등으로 다양합니다.  참고로, 목이 칼칼한 초기 인후통 증상이 있을 때에는 트로키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1. 해열진통제: 이부프로펜 또는 덱시부프로펜  인후통과 같은 염증성 통증에는 이부프로펜(또는 덱시부프로펜*) 사용을 우선시 합니다.  *덱시부프로펜: 이부프로펜의 활성형 성분으로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을 감소시켜 안정성을 높인 제제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나프록센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는 염증매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제하여 소염, 해열, 진통 .. 2024. 5. 24.
알레그라정: 졸음 부작용 적은 3세대 항히스타민제(알러지약) 추천 3세대 항히스타민제란?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비염의 증상을 완화하는데 사용합니다. 3세대 항히스타민제는 2세대 항히스타민제의 이성질체나 유도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2세대를 더 세분화해서 나눈 것입니다. H1 수용체에 매우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1세대, 2세대 항히스타민제의 부작용을 더 줄였습니다. 3세대 분류법은 비교적 최근에 생겨서 아직까지는 1세대와 2세대 두 가지 체계로만 분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3세대 항히스타민제로는 펙소페나딘 성분의 알레그라정이 있습니다.     1세대, 2세대, 3세대 항히스타민제 비교1세대 항히스타민제- 분자량이 작고 지질 친화성을 가져 BBB(혈액-뇌장벽)을 쉽게 통과함  ->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졸음과 같은 진정작용을 일으킴, 지속시간이 짧으.. 2024. 5. 2.
300x250